본문 바로가기
연금

국민연금(노령 연금) 수급자들을 위한 세금 혜택과 절세전략

by 道心光 2025. 2. 14.
728x90

노령연금을 받으면서도 세금 부담 때문에 고민이신가요? 잘 활용하면 세금을 줄이고, 더 많은 연금을 손에 쥘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노령연금 수급자들을 위한 세금 혜택과 절세 전략 을 소개해 드리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국민연금(노령 연금) 수급자들을 위한 세금 혜택과 절세전략

 

 

목차

1. 국민연금(노령연금) 수급시 적용되는 세금 규정

2. 노령연금 수급자들을 위한 세금 혜택

3. 노령연금 절세전략

4. (예시) 1970년생, 국민연금 150만원/월 수령예상시, 세금혜택과 절세 전략

 

 

 

1. 국민연금(노령연금) 수급 시 적용되는 세금 규정

노령연금은 연금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연금에 세금이 부과되는 것은 아닙니다. 연 1,200만 원 이하의 연금소득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초과분에 대해서만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연금소득 금액(연) 과세 여부 설명
1,200만원 이하 비과세 연금소득이 연 1,200만원 이하일 경우 연금소득세 면제
1,200만원 초과~3,400만원 이하 종합소득세 부과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3,400만원 초과 종합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부과 높은 세율 적용, 종합소득세와 함께 지방소득세도 부과

 

그러므로, 연금 개시 연령과 수령 방식을 조절하면 과세 구간을 낮춰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2. 국민연금(노령연금) 수급자들을 위한 세금 혜택

노령연금 수급자에게는 다양한 세금 혜택이 주어집니다. 대표적으로 연금소득공제가 있습니다. 연금액에 따라 연 900만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어, 실제 과세 대상 금액이 줄어듭니다. 또한, 만 70세 이상이라면 노령자 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어 추가 절세가 가능합니다.

연금소득 금액(연) 연금소득공제 한도 노령자 공제 설명
1,200만원 이하 전액 공제 100만 원 연금소득공제 및 노령자 공제 모두 적용 가능
1,200만원 초과~ 2,400만 원 이하 최대 700만 원 100만 원 연금소득공제 한도 내에서 공제 가능
2,400만원 초과~ 9,000만 원 이하 최대 900만 원 100만 원 연금소득공제 최대 한도 적용
9,000만원 초과 공제 없음 100만 원 연금소득공제 혜택 없음, 노령자 공제만 적용

 

이러한 혜택을 놓치지 않으려면 본인의 나이와 연금 수령액을 고려해 연말정산 및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3. 국민연금(노령연금) 절세 전략


노령연금 절세를 위해서는 연금 개시 연령과 수령 방식을 전략적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연금 수령 시기를 늦추거나 분할 수령하면 과세 구간을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소득과 합산하지 않도록 연금 수령액을 조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더불어, 배우자에게 증여하는 방식으로 소득을 분산시키면 종합소득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연금소득 금액(연) 추천 절세전략 설명
1,200만원 이하 추가 수령 가능 비과세 구간이므로 추가 수령해도 세금 부담 없음
1,200만원 초과~ 3,400만원 이하 분할 수령, 수령 시기 조정 종합소득세 구간을 낮추기 위해 수령액을 분산
3,400만원 초과 배우자 증여, 연금 수령 연기 고소득 구간으로, 소득 분산 또는 수령 연기로 절세 가능

 

노령연금 수급자들에게는 다양한 세금 혜택과 절세 전략이 있지만, 이를 잘 모르거나 놓치기 쉽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노령연금 수급자들을 위한 세금 혜택과 절세 전략을 이해하셨다면, 이제 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4. (예시) 1970년생, 국민연금 150만원/월 수령 시 세금혜택과 절세 전략

 

[표] 1970년생,국민연금 월 150만원 수령시 세금혜택 및 절세 전략 (예시) 

구분 내용 예시 및 효과
세금 혜택 - 국민연금 기본 비과세
- 연 1,200만 원 초과 시 과세
- 월 150만원 × 12개월 = 연 1,800만원
   → 과세 대상
연기연금
활용
- 최대 5년 연기하여 매년 7.2% 증액
- 최대 36% 증액
- 만 70세까지 연기 시 → 월 204만 원 수령
- 연기 기간 동안 세금 유예
개인연금
수령 시기 조정
- 국민연금과 분리하여 연간소득 1,200만원 이하로 조정
- 세율 낮추기
- 국민연금 연기수령+개인연금 65세부터 수령
- 세금 최소화 및 소득 분산
기타
절세 방법
- 연금외 소득(배당,월세등) 있다면 연금수령시기 조정
- 배우자와 소득 분산
- 소득 적은 연도에 집중 수령
- 배우자에게 소득 분산 → 종합소득세 절세

 

 

 

추가로 노령연금과 국민연금의 세금 차이점이나 연말정산 시 유리한 연금 수령 방식이 궁금하시다면 다음 포스팅을 기대해 주세요!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