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퇴직 후에도 혜택 받는 국민건강보험 활용법

by 道心光 2025. 2. 24.
728x90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모든 정보!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의 차이점, 보험료 계산법, 피부양자 등록 요건, 임의계속가입 방법까지 상세히 설명합니다. 퇴직 후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이는 방법도 확인해보세요

퇴직 후에도 혜택 받는 국민건강보험 활용법

 

목록

1.국민건강보험 가입 자격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피부양자 자격요건)

2.보험료 부과기준과 계산법

3.피부양자 등록 및 자격유지

4.임의계속가입 제도

5.보험료 조정 및 절약팁

6.퇴직후 건강보험료 절약방법

 

 

 

1. 국민건강보험 가입 자격

직장가입자의 자격 요건

  • 정규직 및 계약직: 주 60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 의무 가입
  • 일용직: 1개월 이상 고용되거나 월 8일 이상, 월 60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가입
  • 외국인 및 재외국민: 국내 거주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 가입 의무

지역가입자의 자격 요건

  • 퇴직자: 직장에서 퇴직하면 지역가입자로 전환
  • 자영업자: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 소득이 없는 사람: 배우자나 부모에게 의존하지 않는 성인

피부양자 자격 요건 

  • 배우자, 부모, 자녀 등 직장가입자에 의해 부양되는 자
  • 소득 기준: 연소득 2천만 원 이하, 금융소득 2천만 원 이하
  • 재산 기준: 재산세 과세표준 9억 원 이하

피부양자 취득 가능여부 확인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모의계산>피부양자 취득가능여부 확인)

 

 

모의계산 < 민원서비스 | 국민건강보험

연체금 계산하기 4대보험 미납 시 연체금을 모의로 계산해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www.nhis.or.kr

 

 

 

2. 보험료 부과 기준과 계산법

직장가입자 보험료 산정 방식

직장가입자는 **보수월액(월급)**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산정합니다.

  • 보험료율: 2025년 기준 7.09%
  • 회사와 본인 부담 비율: 각각 50%씩
  • 산정 방식 예시:
    • 월급 500만 원 → 500만 원 × 7.09% = 354,500원
    • 회사 부담: 177,250원, 본인 부담: 177,250원

지역가입자 보험료 산정 방식

지역가입자는 소득과 재산을 종합하여 보험료가 산정됩니다.

  • 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
  • 재산: 주택, 토지, 자동차 등
  • 산정 공식:
    • (소득 × 소득보험료율) + (재산 × 재산보험료율) = 보험료
    • 예: 소득 3천만 원, 재산 2억 원 → 보험료 약 30만 원

보험료 상한 및 하한

  • 상한선: 고소득자의 보험료 부담을 제한하기 위해 상한선 적용
  • 하한선: 저소득층을 위한 최소 보험료 설정

건강보험료를 확인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모의계산> 보험료 모의계산)

 

 

모의계산 < 민원서비스 | 국민건강보험

연체금 계산하기 4대보험 미납 시 연체금을 모의로 계산해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www.nhis.or.kr

 

 

 

 

3. 피부양자 등록 및 자격 유지

피부양자 등록 요건

  • 가족 관계 증명서 제출
  • 소득 및 재산 기준 충족 (연소득 2천만 원 이하 / 금융소득 2천만원 이하 / 재산세 과세표준 9억 원 이하)

자격 상실 사유

  • 소득 초과: 연소득 2천만 원 초과 시
  • 재산 초과: 재산세 과세표준 9억 원 초과 시
  • 취업: 직장 가입자로 전환

 

 

4. 임의계속가입 제도

임의계속가입이란?

퇴직 후에도 직장가입자였던 보험료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 대상: 직장가입자로 18개월 이상 가입한 자
  • 기간: 최대 36개월

신청 자격과 방법

  • 신청 자격: 퇴직 후 2년 이내 신청
  •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지사 방문

보험료 절약 방법

  • 퇴직 후 지역가입자로 전환 시 보험료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
  • 직장가입자 수준의 보험료 유지

임의계속자입 제도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으시다면 여기를 참고하세요! 

 

 

 

평생건강 지킴이 건강보험 웹진

202212 vol.29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ww.nhis.or.kr

 

 

 

 

5. 보험료 조정 및 절약 팁

소득 및 재산 변동 시 보험료 조정

  • 소득 감소 시: 증빙 서류 제출 후 보험료 재산정
  • 재산 매각 시: 매매 계약서 제출 후 조정

전월세 변동에 따른 보험료 조정

  • 전세금 변동: 보증금에 따라 보험료 조정
  • 월세 전환: 월세는 소득으로 간주, 보험료 인상 가능

비과세 금융 상품 활용법

  •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등 비과세 상품 활용 시 건강보험료 절약 가능

 

 

6. 퇴직 후 건강보험료 절약 방법

퇴직 후 보험료가 너무 높을 경우 해결방법은,

  • 임의계속가입 활용: 퇴직 후 2년 이내 신청하면, 직장가입자 수준의 보험료 유지
  • 피부양자 등록: 배우자나 자녀의 피부양자로 등록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