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에서는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취업, 창업, 주거, 자산형성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을 한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1-1.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
1-2.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
1-3.임대형 스마트팜 조성
1-4.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
1-5.혁신창업 사업화 자금 지원
1-6.청년창업사관학교
2-1. 국가장학금 및 학자금 지원
2-2. 대학생 근로장학금
2-3.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2-4. 청년희망키움통장 & 청년내일저축계좌
3-1. 다가구 매입임대 주택공급
3-2. 전세임대 지원
3-3. 주택구입·전세자금대출
3-4.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
3-5. 청년전세 보증금반환 보증료 지원
3-6. 통합공공임대주택, 행복주택, 나눔형 주택
1. 청년을 위한 일자리 지원제도
1.1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 대상: 39세 이하 미취업 청년
- 혜택: 연간 최대 2,400만원 인건비 지원(기업), 정규직 전환 시 1,000만원 추가 지원
- 신청 방법: 각 지역별 지자체 누리집에서 확인
1.2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
- 대상: 청년 농업인
- 혜택: 최장 3년간 영농정착지원금 지급
- 신청 방법: 농림사업정보시스템
한국농어민신문
농정, 유통, 축산, 농산, 수산, 수출 등의 농업뉴스 제공
www.agrinet.co.kr
1.3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
- 대상: 청년(18~39세)
- 혜택: 스마트팜을 임대
- 신청 방법: 해당 지자체에 문의 (김제, 상주, 고흥, 밀양 등)
1.4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
- 대상: 스마트팜 창업을 원하는 청년
- 혜택: 20개월 교육 제공
- 문의처: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044-861-8765)
1.5 혁신창업 사업화 자금 지원
- 대상: 39세 이하, 창업 3년 미만 중소기업 대표자
- 혜택: 기업당 최대 2억원 융자 지원
- 신청 방법: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www.kosmes.or.kr
1.6 청년창업사관학교
- 대상: 창업 3년 이내 청년기업 대표자
- 혜택: 창업 교육 및 코칭, 사업비 지원
- 신청 방법: K-스타트업
K-Startup 창업지원포털
중소벤처기업부 운영 창업지원포털 창업지원사업 정보 통합·제공 및 온라인창업교육, 창업공간정보, 온라인법인설립 서비스 제공
www.k-startup.go.kr
2. 청년을 위한 사회·복지 지원제도
2.1 국가장학금 및 학자금 지원
- 대상: 대학생(소득 기준 충족)
- 혜택: 장학금 지원
- 신청 방법: 한국장학재단
2.2 대학생 근로장학금
- 대상: 대학생
- 혜택: 교내·외 근로를 통해 장학금 지원
2.3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 대상: 학부생(35세 이하), 대학원생(40세 이하)
- 신청 방법: 한국장학재단
Intro | 한국장학재단
<2025학년도 국가장학금 지원 가능대학 및 학자금대출 제한 대학 안내>
www.kosaf.go.kr
2.4 청년희망키움통장 & 청년내일저축계좌
- 대상: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저소득층 청년
- 혜택: 목돈 마련 지원
- 신청 방법: 복지로
https://www.bokjiro.go.kr/ssis-tbu/
www.bokjiro.go.kr
3. 청년을 위한 주거지원 제도
3.1 다가구 매입임대 주택공급
- 대상: 대학생, 취업준비생, 19~39세 무주택 청년
- 신청 방법: 공공주택사업처별 청약접수
3.2 전세임대 지원
- 대상: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전세주택 제공
- 신청 방법: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www.lh.or.kr
3.3 주택구입·전세자금대출
- 대상: 청년(19~34세 이하)
- 혜택: 최대 4억원 대출 지원 (디딤돌 대출)
- 신청 방법: 주택도시보증공사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임대보증금보증, 분양보증 등 주택보증 업무, 주택도시기금 전담 운용.
www.khug.or.kr
3.4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
- 대상: 보증금 5,000만원 이하, 월세 60만원 이하 청년
- 혜택: 월 최대 20만원 지원(최대 12개월)
- 신청 방법: 복지로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
3.5 청년전세 보증금반환 보증료 지원
- 대상: 전월세보증금 2억원 이하, 연소득 5,000만원 이하 청년
- 신청 방법: 복지로에서 추후 공지
3.6 통합공공임대주택, 행복주택, 나눔형 주택
- 대상: 소득 기준 충족 시 저렴한 임대주택 공급
- 신청 방법: 공공주택사업처별 청약 접수
이처럼 정부에서는 청년들의 미래를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취업을 원한다면? 청년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 확인!
주거 걱정된다면? 청년 전세·월세 지원 프로그램 활용!
자산 형성이 필요하다면?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확인!
꼭 필요한 혜택을 신청해서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세요. 더 자세한 정보는 각 해당 기관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대학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학자금대출 총정리(지원 대상, 이자율, 상환 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5.03.04 |
---|---|
2025년 국가장학금 Ⅱ유형(대학자율형) 추가로 받자(지원대상, 지원금액, 신청방법) (0) | 2025.03.04 |
2025년 국가장학금 I유형(소득연계형) 총정리(신청방법, 지급일, 소득구간) (0) | 2025.03.04 |